데이터플랫폼 고도화를 위한 프로젝트 수행 단계 설명
1. 현재 시스템 평가: 현재 데이터 플랫폼의 성능, 보안, 기능 등을 평가하고 문제점이나 개선 필요성을 파악합니다. 이는 문제 해결의 첫 단계로, 현재 시스템의 강점과 약점, 기회와 위협(SWOT)을 평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1. 성능 평가: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하는지, 처리 속도가 어떤지, 다운타임이 있는지 등에 대해 분석합니다. 이 단계에서는 성능 모니터링 도구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처리 용량, 응답 시간 등을 측정합니다.
2. 기능 평가: 시스템이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고 있는지 확인합니다. 필요한 기능이 빠져 있거나, 잘못 동작하거나,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효율적이지 않은지 등을 확인합니다.
3. 보안 평가: 시스템의 보안 상태를 점검합니다. 이는 통신 보안, 데이터 보안, 접근 제어 등의 여러 측면을 검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.
4. 데이터 품질 평가: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품질을 검사합니다. 이는 데이터의 정확성, 완전성, 일관성, 신뢰성, 최신성 등을 평가하는 것을 포함합니다.
5. 시스템 아키텍처 평가: 현재 시스템 아키텍처가 현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지, 미래의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을 보장하는지 평가합니다.
6. 사용자 만족도 평가: 시스템의 최종 사용자들이 시스템에 만족하는지 평가합니다. 이는 사용자 설문조사, 인터뷰, 피드백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.
7. 비용 효율성 평가: 시스템의 운영 비용, 유지보수 비용, 투자 비용 등을 고려하여 비용 효율성을 평가합니다.
각 평가 단계 후에는 개선사항을 식별하고 이를 문서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 정보는 후속 단계인 '요구사항 정의'와 '계획 수립'에서 중요한 참조 자료가 될 것입니다.
2. 현재 데이터 평가: 데이터의 품질, 구조, 저장 방식, 관리 방식 등을 이해하고 개선할 수 있는 영역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.
1. 데이터 품질 분석: 데이터의 정확성, 완결성, 일관성, 신뢰성, 최신성 등을 평가합니다. 불완전한 데이터, 중복 데이터, 잘못된 데이터 등이 있는지 확인합니다.
2. 데이터 구조 분석: 데이터의 형태와 구조를 분석합니다. 이는 테이블의 스키마, 데이터 타입, 관계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비정형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의 형식(JSON, XML 등), 텍스트 데이터의 언어 및 인코딩 등을 분석합니다.
3. 데이터 저장 및 관리 분석: 데이터가 어떻게 저장되고 관리되는지 분석합니다. 이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, 파일 시스템, 클라우드 저장소 등의 사용 방식을 포함합니다. 또한, 데이터 백업, 복구, 보안 등의 관리 방식도 분석합니다.
4. 데이터 처리 및 분석 분석: 데이터가 어떻게 처리되고 분석되는지 분석합니다. 이는 ETL 프로세스, 데이터 파이프라인, 데이터 분석 도구 및 방법 등을 포함합니다.
5. 데이터 사용 및 액세스 분석: 데이터를 어떻게 사용하고 액세스하는지 분석합니다. 이는 사용자의 데이터 요구, 데이터 액세스 패턴, 데이터 보안 및 접근 제어 등을 포함합니다.
이러한 분석은 데이터 질을 향상시키고, 데이터 관리를 효율화하며, 데이터 기반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등의 개선을 위한 기반을 제공합니다.
3. 요구사항 정의: 개선하려는 목표를 분명히 정의하고,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요구사항을 명세합니다. 이는 새로운 기능의 추가, 성능 개선, 보안 강화 등이 될 수 있습니다.
1. 비즈니스 요구사항 정의: 비즈니스 목표와 전략을 바탕으로 고수준의 요구사항을 정의합니다. 이는 비즈니스 가치, 사용자의 요구, 경쟁력 향상 등을 고려하여 수행됩니다.
2.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: 사용자의 관점에서 시스템이 가져야 할 특성과 기능을 식별하고 정의합니다.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뷰, 설문조사, 사용자 스토리 작성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3. 시스템 요구사항 정의: 기술적인 관점에서 시스템이 가져야 할 요구사항을 정의합니다. 이는 성능, 보안, 신뢰성, 유지보수성 등을 고려하여 수행됩니다.
4. 법률 및 규정 요구사항 정의: 관련 법률, 규정, 표준 등을 준수해야 하는 요구사항을 정의합니다. 예를 들어, 개인 정보 보호, 접근성, 데이터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및 규정을 고려해야 할 수 있습니다.
5. 요구사항 우선순위 결정: 모든 요구사항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은 종종 불가능하므로, 요구사항 간의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. 이는 비즈니스 가치, 사용자의 요구, 비용, 리스크 등을 고려하여 수행됩니다.
6. 요구사항 문서화: 정의된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문서화합니다. 이는 요구사항 명세서, 사용자 스토리,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.
요구사항 정의는 이해관계자들과의 의사소통과 협업을 필요로 합니다. 따라서,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합의를 이루는 것이 중요합니다.
4. 계획 수립: 요구사항에 따라 구체적인 개선 계획을 수립합니다. 이 단계에서는 시스템 아키텍처의 변경, 새로운 기술 도입, 코드 리팩토링 등의 작업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.
1. 목표 설정: 개선할 항목과 그에 대한 명확한 목표를 설정합니다. 예를 들어, "시스템 성능을 20% 향상시키기", "보안 취약점 제거하기" 등의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
2. 전략 개발: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합니다. 이는 사용할 기술, 도입할 아키텍처, 개선할 절차 등을 포함합니다.
3. 작업 분배: 개선 작업을 세부적인 작업으로 분할하고, 이를 팀원들에게 분배합니다. 각 작업의 목표, 수행 방법, 책임자, 마감일 등을 명시합니다.
4. 일정 계획: 작업들을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하고, 전체 프로젝트의 시작일과 종료일을 결정합니다. 이는 Gantt 차트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습니다.
5. 자원 계획: 필요한 자원을 식별하고, 이를 확보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합니다. 이는 인력, 장비, 소프트웨어, 예산 등의 자원을 포함합니다.
6. 위험 관리 계획: 프로젝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식별하고, 이를 관리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합니다. 이는 위험의 식별, 평가, 대응 계획 수립 등을 포함합니다.
7. 소통 계획: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의사소통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합니다. 이는 이해관계자들과의 회의 일정, 보고서 작성 및 제출 방법, 의사결정 절차 등을 포함합니다.
이러한 계획들은 프로젝트 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관리하고 추적할 수 있습니다. 계획은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수정될 수 있으며, 이는 유연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(예: Agile)에서는 흔한 일입니다.
5. 구현: 개선 계획에 따라 실제로 시스템을 개선합니다. 이는 새로운 코드의 작성, 기존 코드의 수정, 새로운 기술의 도입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.
1. 개발 환경 설정: 개발을 위한 환경(IDE, 버전 관리 시스템 등)을 설정합니다. 필요한 라이브러리, 프레임워크 등을 설치하고 구성합니다.
2. 소프트웨어 설계: 시스템의 아키텍처와 각 컴포넌트의 상세 설계를 수행합니다. 설계는 클래스 다이어그램, 순서 다이어그램 등의 형태로 문서화 될 수 있습니다.
3. 코딩: 설계에 따라 실제 코드를 작성합니다. 코딩 규칙과 표준을 따르며, 버전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코드 변경 사항을 추적합니다.
4. 단위 테스트: 개별 코드 유닛(함수, 메서드, 클래스 등)이 예상대로 동작하는지 테스트합니다. 이 단계에서는 자동화된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5. 코드 리뷰: 다른 팀원들이 코드를 검토하고 피드백을 제공합니다. 이는 코드의 품질 향상과 버그 찾기에 도움이 됩니다.
6. 통합 테스트: 단위 테스트를 통과한 코드를 통합하고, 시스템 전체가 올바르게 동작하는지 테스트합니다.
7. 시스템 테스트: 시스템이 전체적으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, 사용자 환경에서 제대로 동작하는지 테스트합니다.
8. 문서화: 코드, API, 사용자 매뉴얼 등 필요한 문서를 작성하거나 업데이트합니다.
이 단계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되지만, Agile, Scrum 등의 반복적인 개발 방법론에서는 여러 단계가 병렬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습니다. 또한, 지속적인 통합(CI)과 지속적인 배포(CD)를 지원하는 도구를 사용하면 코드 통합, 테스트, 배포 등의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.
6. 테스트: 개선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. 이는 기능 테스트, 성능 테스트, 보안 테스트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.
7. 배포: 테스트를 통과한 시스템을 실제 운영 환경에 배포합니다.
8. 평가와 반복: 배포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고, 필요한 경우 이전 단계를 반복하여 추가 개선을 진행합니다.
'IT > 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셀룰러가 없는 Y700과 아이폰 테더링 (0) | 2024.03.30 |
---|---|
XOps 간 비교(DevOps, DataOps, MLOps, AIOps) (0) | 2023.08.09 |
시스템 분석 및 설계 (0) | 2023.05.19 |
RATH (0) | 2023.04.26 |
인텔 맥북 Bootcamp 에서 Windows 11 설치하기 (0) | 2023.04.25 |
댓글